개요

한국수출입은행은 우리나라가 주요 에너지와 광물 자원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가 안정적으로 자원을 확보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수출입은행은 우리 기업이 해외자원 보유국에 진출해 자원을 탐사, 개발, 생산 또는 수입하는데 필요한 자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수의 해외사업 수행 경험을 바탕으로 해외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우리 기업 앞으로 해외 공적수출신용기관, 국제금융기관, 국내외 은행 등과 협조하여 다양한 지원(주선, 자문 등)을 하고 있습니다.
사업단계별 사례 및 금융지원방안
- Upstream
- 탐사사업
- 유 · 가스 광물 등 M&A, 광업권인수
- 탐사자금, 지분인수자금
- 지분 · PEF투자
- RBF(매장량기초금융)
다음단계
- Midstream
- 파이프라인(가스파이프라인)
- LNG, LPG플랜트
- 수출터미널(해외)
- PF대출 · 보증
- 현지법인인수운영자금
- 지분 · PEF투자
- 팩토링
다음단계
- Downstream
- 수입터미널, 비축저장소
- 자원수입거래(원유, 광물, LNG 등)
- 수출이행자금
- 이행성보증
- 수입기반자금
매장량기초금융 (RBL : Reserve-Based Lending) : 생산단계에 있는 유·가스전에서 채굴되는 미래생산물의 현재가치를 평가하여 금융을 제공하는 비소구 조건의 Structured Finance (미국, 캐나다, 호주 등에서 주로 활용)
- (1) 대출금 상환 : 수입금 계좌(Proceeds Account) → 대출은행
- (2) 잉여현금(대출금 상환 후) 차주 앞 송금 : 수입금 계좌(Proceeds Account) 차주 ↔ 차주는 대출은행에 담보를 제공하고 대출을 받는다.
- 차주는 생산물 구매자에게 생산물을 판매한다.
- 생산물 구매자는 수입금 계좌(Proceeds Account)에 구매대금을 지급한다.
참고
상담안내
부서 | 연락처 | 관련업무 |
---|---|---|
자원금융실 |
02-3779-6452 | 원유·천연가스, 비전통자원 |
02-3779-6424 | 광물, 임업, 농업 | |
투자금융실 | 02-6255-5103 | 자원개발펀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