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출입은행에서 유용한 정보를 찾으셨나요?
지금 보고 계신 정보를 함께 나누고 싶은 분께 추천해 보세요.
아래사항을 기입하신 후 이메일보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이 내용을 원하시는 분에게 메일로 보낼 수 있습니다.
한국수출입은행은 2013년 민간·정책금융기관으로는 세계 최초로 5억 달러 규모의 녹색채권을 발행한 이래 2022년 현재까지 12차례에 걸쳐 총 67억 달러 규모의 ESG채권을 발행 하였습니다.
한국수출입은행은 2013년 민간·정책금융기관으로는 세계 최초로 5억 달러 규모의 녹색채권을 발행한 이래 2023년 1월 현재까지 14차례에 걸쳐 총 77억 달러 규모의 ESG채권을 발행 하였습니다.
ESG채권으로 조달된 자금은 우리 기업의 친환경 산업 진출 지원, 코로나19 피해 중소기업 지원, 고용 창출 및 보건 증진 사업 등에 사용되었습니다.
향후 ESG 관련 프로젝트 증가 추세에 맞추어 ESG채권 발행을 확대해 나가며 녹색금융, 고용창출 등 환경·사회 가치 창출에 기여할 계획입니다.
한국수출입은행은 ESG채권 발행대금 사용에 대한 투명성 제고 및 엄격해진 투자자 기대수준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위해 2021년 9월 ESG채권 관리체계(프레임워크)를 글로벌 수준으로 강화(채권 발행대금 사용에 대한 제3자 검증과정 추가 등)하고 글로벌 ESG평가기관으로부터 외부검토의견서(Second Party Opinion)를 획득하였습니다.
GBP(Green Bond Principles) 및 SBP(Social Bond Principles) 등 글로벌 모범규준을 기반으로 개편된 프레임워크에 따라, 한국수출입은행은 매년 홈페이지에 ESG채권 발행대금의 사용현황을 공시하고 제3자 검증을 진행하는 등 ESG채권에 대한 신뢰도를 강화하고 국내외 ESG 채권시장 활성화에 선도적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겠습니다.
유형 | 발행년도 | 발행금액 | 비고 |
---|---|---|---|
녹색 채권 | 2022 | 0.5억 달러 | 사모채권 |
2022 | 5.5억 유로(5.7억 달러) | 공모채권 | |
2022 | 10억 달러 | 공모채권 | |
2021 | 8.5억 유로(9.8억 달러) | 공모채권 | |
2021 | 10억 달러 | 공모채권 | |
2020 | 7억 유로(7.6억 달러) | 공모채권 | |
2019 | 0.5억 달러 | 사모채권 | |
2018 | 4억 달러 | 한국 최초 포모사 녹색채권(공모채권) | |
2017 | 63억 인도루피화(0.98억 달러) | 사모채권 | |
2016 | 4억 달러 | 공모채권 | |
2013 | 5억 달러 | 민간·정책금융기관 세계 최초(공모채권) | |
청색 채권 | 2023 | 10억 달러 | 공모채권 |
사회적 채권 | 2020 | 5억 유로(5.9억 달러) | 공모채권 |
지속가능 채권 | 2018 | 3,500억 원 | 한국 최초 SDG채권* |
* UN에서 2030년까지 달성하기로 한 17개 부분의 지속가능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와 관련된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하여 발행한 특수목적채권
발행년도 | 발행금액 | 비고 |
---|---|---|
녹색 채권 | ||
2022 | 0.5억 달러 | 사모채권 |
2022 | 5.5억 유로(5.7억 달러) | 공모채권 |
2022 | 10억 달러 | 공모채권 |
2021 | 8.5억 유로(9.8억 달러) | 공모채권 |
2021 | 10억 달러 | 공모채권 |
2020 | 7억 유로(7.6억 달러) | 공모채권 |
2019 | 0.5억 달러 | 사모채권 |
2018 | 4억 달러 | 한국 최초 포모사 녹색채권(공모채권) |
2017 | 63억 인도루피화(0.98억 달러) | 사모채권 |
2016 | 4억 달러 | 공모채권 |
2013 | 5억 달러 | 민간·정책금융기관 세계 최초(공모채권) |
사회적 채권 | ||
2020 | 5억 유로(5.9억 달러) | 공모채권 |
지속가능 채권 | ||
2018 | 3,500억 원 | 한국 최초 SDG채권* |
* UN에서 2030년까지 달성하기로 한 17개 부분의 지속가능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와 관련된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하여 발행한 특수목적채권
표준관리체계
pdf 파일다운로드외부 전문기관 인증보고서
pdf 파일다운로드